Today I Learned
Facts. 객관적인 사실
1. Algorithm Basic 풀이
- 문제 풀이 및 나만의 언어로 해설
2. 고차함수 이해하기
- 동작 구조 및 메서드
3. 고차함수 코플릿 풀이
- solo section & Pair program
Feelings. 주관적인 느낌
1. Algorithm Basic 풀이
- 어제와는 다르게 술술 풀렸다.
2. 고차함수 이해하기
- 모르겠는 부분은 콘솔로그로 찍어보면서 동작구조를 확인하면 이해하기 더 쉽다.
3. 고차함수 코플릿 풀이
- 막히는 부분은 다시 해도 또 막히는데 이번엔 다른 경우의 수를 대입하다가 막혔다.
답이 나왔다고 해서 그냥 넘어가지 말고 이 방법으론 풀릴까? 저 방법은 어떨까? 하면서 경우의 수를 산정하고 여러가지 풀이방법으로 풀다보면 멘탈도 터진다.
Activated. 배운 것
- 고차함수 코플릿 20번 28번 32번 해설
스프린트 리뷰 시간에 크루분께 질문해서 답을 얻었다.
테스트가 통과되는 조건이지만 코드 작성을 잘못한 것도 있었고, 해당 코드를 특정 구간에 옮기면 어떻게 동작이 되는지도 알 수 있었다.
deActivated. 개선해야 될 것
- 블로그 게시글 임시저장 해둔 것이 너무 많다.
욕심이 너무 많은건지.. 수정을 해도 해도 끝이 안보인다.
Affimation. 자기 선언
- 일일 학습 계획을 포스트 잇으로 작성해두고 완료한 계획은 체크하기!
하루 목표가 눈에 보이는 것과 그저 머릿속에 담아두고만 있는건 천지차이다.
목표를 정해두고 시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자! - 최대한 많은 경우의 수를 산정하기
다양한 방법으로 문제를 풀어봐야 비로소 그 문제를 이해했다고 할 수 있다.
정답이 있을지라도 푸는 과정에 답은 없다. 뭐... 최적화 정도는 있겠지만
Retrospective
![[일간 회고] JavaScripe 고차함수 - Retrospective [일간 회고] JavaScripe 고차함수 - Retrospective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eaOmf9/btrtlmA3wYG/2Pi43Yak0Y0LHfde7A3kfk/img.png)
전날 설치한 스티키 노트 활용의 폭을 좀 더 넓혀보았다.
확실히 내가 당일 하고자 하는 것을 눈앞에서 바로 볼 수 있으니 고질적인 문제였던 나태함도 어느 정도 해결되었다.
저거 다 체크하기 전까지 못 쉰다~ 이거야 어엌ㅋㅋㅋㅋㅋㅋ
반응형
'CodeStates > TIL & 회고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일간 회고] React SPA (0) | 2022.02.17 |
---|---|
[일간 회고] React Intro (0) | 2022.02.16 |
[일간 회고] Document Object Model (0) | 2022.02.14 |
[일간 회고] JavaScript Koans (0) | 2022.02.10 |
[일간 회고] 스코프와 클로저 (0) | 2022.02.09 |
댓글